Category Archives: Sejiwon

세지원 블로그 공지사항

개발자 등급을 정하는 룰을 아시나요?

해외에는 없는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개발자 등급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기술자보다 관리자를 더 챙기고 신뢰하는 문화이지요. 그냥 하는 말 중에 “기술이나 배워라”라는 말만 들어도 이를 인지할 수 있지요. 자, IT개발자는 어떻게 등급을 나눌까요? 현재, 학력과 근무년수에 따라 나뉩니다. 먼저, 초급을 알아볼까요. 고등학교 졸업 후 1~12년 까지 초급입니다. 4년단위로 초초/초중/초고로 나뉩니다. 초대졸은 졸업 후 1~9년까지 초급입니다. 3년단위로… Read More »

Query 연습 ( 데이터베이스 설치없이 하는 법 )

Query연습하기 위해 꼭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을까요? 물론, 이것을 생업으로 살아가기 위해 배운다면 Oracle, DB2, MySQL, postgreSQL등등 많은 데이터베이스 설치부터 배워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회사나 학교등 누군가 설치한 데이터베이스만 이용하려면 Query를 작성하고 연습해야 하는데 설치하고 뭐하고 하다가 잘 설치가 안되기라도 하면 작성하고 연습하기 전에 지쳐서 포기할 수도 있고, 너무 목표로 가기가 힘들어서 흥미를… Read More »

Category: SQL

WordPress 카테고리 추가하기

먼저, 카테고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분류를 하는 것을 카테고리라 한다. 이 WordPress의 설명대상은 초딩도 이해할 수 있게 쓰는 것이므로, 어른들은 스킵하기 바란다. 초딩을 위해 카테고리를 조금 더 설명하면, 동일한 성질을 가지고 같은 것끼리 분류된 것을 카테고리라 한다. 예를 들어, 식물이라는 카테고리를 만들면 동물이 아닌 식물에 해당하는 것을 분류해서 모아놓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글에도 어떤 기준으로 나눠서… Read More »

VisualSVN 설치

윈도우에서 간단히 설치하여 쓸 수 있는 SVN인 VisualSVN 설치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합니다. 설치를 시작합니다. 다음으로 진행 라이센스 동의해야 겠지요. 다음 가끔 위 작업에서 에러가 나는데, server port 443을 다른 것으로 사용하고 있지않은지 확인하고, 사용하고 있다면 444등 다른 port를 부여하기 바랍니다. 다음 다음 이제야 인스톨을 하네요. 진행이 완료된 후 설치가 다 되었으니, 이제… Read More »

“똠방각하”를 아시나요?

완전 옛날 이야기에요. 지금은 한글을 조합형으로 쓰는 것이 너무 당연하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지요. 이유는 단 한가지, 경제적인 문제였어요. 경제적인 것이 나쁜 것이 아니지만, 모든 것에 경제적인 잣대를 들이밀면 안된다는 거지요. 예전에 컴퓨터에서 한글을 사용할 때 7비트 완성형과 8비트 조합형 등의 이슈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하드디스크 사이즈도 그렇고 메모리사이즈도 그렇고 여유있게 많이 쓰고 가격 또한 그렇게 비싸지… Read More »

Redmine 안에서 그림 삽입하는 방법

의사소통관리 툴인 레드마인에서 그림을 안에 넣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감에서 올리던지 게시판이던지 문서던지 올리는 그림을 삽입하는 방법은 아래방법처럼 하면 된다. 먼저, 파일선택으로 삽입할 그림을 선택한다. 선택 후 파일을 올리면 위와 같은 모습이 된다. 그림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기호가 나온다. 그 기호사이에 아래와 같이 적으면 된다. 입력 후 만들기 버튼을 눌러 완성하자. 아래와 같이 그림이 삽입된… Read More »

형상관리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란?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소스관리하기가 참 생각보다 어렵다. 난 처음으로 금융권(은행) 프로젝트하면서 사용하게 된 것 같다.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CVS라는 툴이었고, 이때 사용한 언어는 Powerbuilder 였다. 4GL 툴이었는데, 이를 전부 텍스트 형태로 바꿔서 저장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이후 SVN도 썼고,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는 GIT을 사용했다. SVN과 GIT의 차이를 설명하자면, SVN은 소스전체에 대한 부분은 SVN서버에 두고 변경되는 부분만… Read More »

DDL / DML / DCL이란?

SQL문을 보면 DDL, DML로 나뉘어져 있다. DDL(Data Definition Language),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DCL(Data Control Language)의 약자이다. 체계적으로 차근차근 공부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 내용을 잘 보고 지나가고, 안 그런 사람들은 그냥 지나가도 된다. 지나가지만, 나중에 다시 돌아보게 되긴 할 것이다. 잘 인지하면, 조금 뒤에가 명확해 지겠지요. DDL부터 살펴보자. DDL은 테이블을 생성하고 삭제하고 변경하는 것에 대한 명령어를… Read More »

Category: SQL

SQL (Structured Query Languege) 문을 배워야 하는 이유

SQL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할 수 있는 언어를 말합니다.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없으며, 이 데이터들은 전부 데이터베이스라는 곳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또는 원하는 정보를 가공하여 받으려면 SQL문을 작성해서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도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오려면 SQL문을 작성해야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프로그램들은 SQL문을 쓰느냐고 묻는다면 결론은 대부분 그렇습니다. 사용하지… Read More »

Category: SQ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