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10 원격 데스크톱(Remote Desktop) 설정

윈도우 10에서 원격 제어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원격 데스크톱 (Remote Desktop) 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타사 프로그램을 통해 원격 제어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각각의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1. 윈도우 10 원격 데스크톱(Remote Desktop) 설정 원격 데스크톱은 윈도우 10 Pro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원격으로 다른… Read More »

Windows 공유폴더

윈도우에서 공유 폴더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방법은 윈도우 10 및 11을 기준으로 설명됩니다. 다른 윈도우 버전도 비슷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공유 폴더 선택 먼저 공유하려는 폴더를 선택합니다. 2. 폴더 공유 설정 3. 네트워크 탐색 및 파일 공유 활성화 윈도우 10과 11에서는 네트워크 탐색 및 파일 공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다른 장치에서… Read More »

Query 성능확인 방법

먼저, ASIS와 TOBE의 SQLID를 비교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간단한 사항만 확인할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 보다 더 자세히 내용을 확인해 보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합니다. 위와 아래를 적절히 섞어서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Query 속도확인

먼저, 대상이 되는 쿼리에 /* … */ 주석문 안에 sql_id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주석을 입력합니다. 이 다음에 DBMS_XPLAN을 이용하여 내용을 확인합니다. TYPICAL자리에는 ‘ADVANCED ALLSTATS LAST’ 또는 ‘ALLSTATS LAST’ 및 ‘PARTITION’ 등으로 대치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민트에서 도커(Docker)를 사용하는 방법

1. 도커 설치하기 리눅스 민트는 우분투 기반이기 때문에 우분투용 도커 설치 방법과 동일합니다. 1.1 시스템 업데이트 먼저 시스템 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합니다. 1.2 도커 패키지 설치 도커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Docker의 공식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1.2.1 필수 패키지 설치 1.2.2 Docker의 공식 GPG 키를 다운로드 1.2.3 Docker 저장소를 추가 1.2.4 도커 설치 1.2.5 도커 서비스 시작… Read More »

리눅스 파일관련 명령어

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ls :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 옵션: cd : 디렉토리 변경 pw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경로 출력 mkdir : 새 디렉토리 생성 rmdir : 비어 있는 디렉토리 삭제 rm : 파일 삭제 옵션: mv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동 / 이름 변경 2. 파일 내용 확인 및 수정… Read More »

Bash이 뭔가요?

Bash는 **”컴퓨터와 대화하는 언어”**라고 생각하면 돼요. 우리가 컴퓨터에 어떤 일을 시킬 때, 마우스나 키보드로 클릭하거나 타이핑을 하잖아요? Bash는 그런 일들을 명령어로 하는 방법이에요. Bash란 무엇일까요? 어떻게 사용할까요? 예시: 왜 Bash를 사용하나요? Bash는 컴퓨터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우리가 마우스로 클릭할 때보다, Bash 명령어로 하는 일이 더 빠르고 간단할 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 Read More »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

Bash(Bourne Again Shell)는 리눅스와 macOS에서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쉘입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Bash 명령어를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1. echo – 문자 출력하기 2. pwd – 현재 위치 확인하기 3. ls – 파일 목록 보기 4. cd – 폴더 이동하기 5. mkdir – 새로운 폴더 만들기 6. touch – 새로운 파일 만들기 7. rm… Read More »

OKKY 좋은 회사 / 나쁜 회사를 보다가…

많이 힘든시기인데 우연히 개발자 커뮤니티의 글들을 보다가 예전이나 지금이나 참 많이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서 몇 글자 적습니다. 요새도 임금체불하는 회사가 있어?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수 있겠지만, 실제로 많이 벌어지고 있는 일입니다. 중간에 우리가 흔히 1차업체가 아닌 업체를 현재 보도방이라고 비하해서 부르는 데 이 하위 업체들이 그런 일들을 비일비재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개발자 출신도… Read More »

DB가 설치된 하드웨어 Resource 확인하는 방법(오라클)

오라클을 사용하다보면 오라클이 설치된 하드웨어 리소스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쿼리를 2개 소개해 봅니다. 먼저 OS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 가령, CPU갯수등을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이와 더불어 디스크 I/O를 확인할 수 있는 쿼리도 하나 소개해 봅니다. 위 두개 뷰를 잘 활용하여 여러 정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